각종 정보 모아보기/알아보자 알아보자

차상위계층 기준 혜택 확인서 발급 방법 알아보기

열해 2021. 8. 11. 16:26
반응형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경제사정이 많이 어려워지면서 가계에 부담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수입은 줄어들고, 수입이 들어올 곳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힘들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서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면서 많은 분들이 차상위계층의 기준, 혜택, 확인방법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차상위계층의 기준과 혜택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아 직접 찾아보고 이렇게 정보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차상위계층이 받을 수 있는 혜택과 기준,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상위계층의 기준은?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기준은 바로 중위소득 50%입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보다는 덜 취약한 계층이지만, 앞으로 빈곤계층에 속할 위험이 있는 단계에 있는 것이 바로 차상위계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차상위계층을 구분 짓는 기준은 [**중위소득 50%**]에 있습니다. 

정확한 차상위계층 기준은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의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입니다. 자신이 받는 월급이 기준 소득의 50% 이하라고 하여도 가지고 있는 재산이 많다면 기준에 부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재 중위소득 50%의 기준이 되는 가구원 수당 소득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913,916원
  • 2인: 1,544,040원
  • 3인: 1,991,975원
  • 4인: 2,438,145원
  • 5인: 2,878,687원

 

차상위계층 혜택

 

메인 -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bokjiro.go.kr)

 

메인 -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자립청년 지원강화 방안

www.bokjiro.go.kr

 

혜택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저소득층 란이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위와 같인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버튼이 나옵니다. 이것을 클릭하시면 혜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보시면 정말 많은 혜택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 보고 이렇게 많은 혜택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정부에서 많은 복지를 준비해놓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방법은? 

 

 

확인서 역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을 누르시면 새로운 창이 뜨는데, 그곳에서 차상위계층 확인서를 누르시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발급을 받을 때 공동 인증서 인증이 필요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해두시면 편리합니다. 

 

2021.07.21 - [각종 정보 모아보기/알아보자 알아보자] - 가족관계 증명서 발급 방법 총정리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방법 총정리

가족관계 증명서란? 정부에서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 서류를 제출할 때 가족관계 증명서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족관계 증명서는 각종 지원금이나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reviewingboy123.tistory.com

2021.07.21 - [각종 정보 모아보기/알아보자 알아보자] - 토스 QR 체크인 이용하는 방법

 

토스 QR 체크인 이용하는 방법

토스 QR 체크인 출시 토스에서 이번에 새롭게 QR 체크인 기능을 출시하였습니다. 여러 어플을 통해서 체크인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는데, 토스도 이번에 QR 체크인 기능을 어플에 탑재하였네요.

reviewingboy123.tistory.com

2021.07.06 - [각종 정보 모아보기/알아보자 알아보자] - 소득 없음 사실증명원 발급방법 알아보기

 

소득없음 사실증명원 발급방법 알아보기

소득 없음 사실증명원이란 뭐지? 소득 없음 사실증명원은 발생한 자신의 소득을 연말 정산한 사실이 없음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종합소득세나 근로 소득이 발생하였으나 이를 통한 연말정산을

reviewingboy12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