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서? 로써?
로서와 로써를 언제 사용해야 되는지 많이들 헷갈려하십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저도 자주 헷갈립니다. 그래서 이렇게 글을 적어보며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으려고 합니다.
로서 ①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조사
②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써 ①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
②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각각 단어가 쓰이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만 보면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알 수 없으니 예문과 함께 설명해보겠습니다.
로서? 로써? -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로서는 자격, 로써는 방법, 수단
로서는 자격, 신분, 지위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로서를 외울 때, 자신 있게 서 있지로 한번 외워본다면 쉽게 외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격)신(분)있게 (로)서 있지(위) 이런 식으로 두문자를 따서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한다면 쉽게 외워지겠죠?
로써는 주로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건 쉽게 수단 사람들은 도구를 써 이런 식으로 줄여보면 쉽게 외울 수 있을 것 같네요. 자신만의 방법을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2. 로서, 로써가 들어가는 자리에 ~방법, 수단을 사용해서를 넣어보고 어색하다면 로서가 맞는 것이고 어울린다면 로써가 맞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 똑똑한 사람은 말로써 천냥 빚을 갚는다고 한다 → 똑똑한 사람은 말(방법,수단)을 사용해서 천냥빚을 갚는다고 한다
위의 예문에서는 말이라는 방법, 수단을 사용해서 천냥빚을 갚는다라고 대입해보면 말이 자연스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로써가 어울리는 것이죠.
3. 주어와 로서앞의 체언이 1대1로 대응한다면 로서를 사용합니다
문장에서 주어와 로서앞의 체언이 일치한다면 로서를 사용해줍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민수는 친구로서 아주 좋은 친구지만, 남편감으로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 문장의 주어인 민수는 로서라는 격조사 앞의 친구, 남편감과 1대 1로 대응이 됩니다. 즉 민수=친구, 남편감이라고 말할 수 있으니 로서가 사용 가능한 것이죠.
물론 제가 제시한 방법이 언제나 옳지는 않습니다. 문장에서 문맥을 보고 파악을 해야 답을 알 수 있는 경우가 있으니 평소에 로서와 로써를 구별하는 방법을 연습해 놓는다면, 원하는 상황에 적재적소에 사용가능할 거라 생각됩니다.
예문
로서
■ 정수는 교사로서 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있다
■ 이 문제는 현재로서는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
■ 우리 엄마는 엄마로서 우리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주셨다
로써
■ 꿀로써 제육볶음의 단맛을 내는 것이 이 집의 비결이다
■ 영미와 정호는 대화로써 갈등을 풀어낼 수 있을까?
■ 그 영화배우는 기자회견장에 나와 눈물로써 호소했다
오늘은 로서와 로써를 알아보았습니다. 로서와 로써는 자료를 준비하면서 어려움이 많았던 맞춤법이었습니다. 지금도 계속 알아보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글을 보시는 분들도 다른 여러 자료를 이용하신다면 확실하게 로서, 로써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맞춤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개장? 닭계장? 어떤 것이 옳을까요? (2) | 2020.11.16 |
---|---|
가르치다? 가르키다? 어떤 것이 옳을까요? (0) | 2020.11.13 |
걷잡다? 겉잡다? 어떤 것이 옳을까요? (2) | 2020.11.08 |
들르다? 들리다? 어떤 것이 옳을까요? (0) | 2020.11.06 |
간간이? 간간히? 어떤 것이 옳을까요? (0) | 2020.11.05 |